여름철, 우리를 괴롭히는 모기에 대해 알아보고 감염병 확산에 맞서고 있는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을 소개한다.
모기야, 어디서 왔니?
모기는 인류 탄생 훨씬 전인 1억 7천만 년 전, 후기 쥐라기 시대에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처음 발견된 것으로 추정한다. 모기는 여름철 물이 고여 있는 웅덩이라면 어디서든 알을 낳고, 산란 후 이틀 만에 부화한다. ‘장구벌레’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모기 유충은 물고기, 잠자리 유충의 먹이가 된다. 암컷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 등의 피를 통해 알을 낳는 데 필요한 영양분을 얻고, 수컷은 꽃의 꿀이나 나무의 수액 등을 먹고 산다.
감염병을 유발하는 모기도 있어요
물렸을 때 피부가 가려움으로 그치는 모기가 있지만 감염병을 유발하는 모기도 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모기는 총 56종으로, 이 가운데 얼룩날개모기, 흰줄숲모기 등 5종의 모기는 말라리아, 일본 뇌염,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을 유발한다. 모기를 예방하려면 화분, 플라스틱 용기 등에 고인 물을 없애고, 방충망을 점검하는 것이 좋다. 또 야외 활동을 할 때 모기 퇴치제나 기피제를 준비하고, 땀을 흘린 후 에는 깨끗이 씻는 것도 잊지 말자.
답변_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질병연구부 면역진단팀
김서진(경인초 3)
모기에 잘 물리는 사람이 있나요?
모기는 체온이 높은 사람, 젖산, 암모니아등 화학 물질을 포함한 땀 냄새가 나는 사람을 좋아해요. 또 명암의 대비로 물체를 인식해서 어두운색 옷을 입은 사람을 더 좋아해요.
김수지(인헌초 4)
모기 기피제는 정말 효과가 있나요?
일시적이지만 효과는 있어요. 다만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제품인지 확인 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해요.
장은지(도림초 4)
모기는 최대 얼마나 흡혈하나요?
자신의 체중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인 약 5mg의 혈액을 섭취해요. 2~3분 흡혈 후 모기의 복부는 혈액으로 가득 차 빨갛게 부풀어요.
강동규(대도초 5)
모기는 어떻게 사람이 모르게 흡혈을 하나요?
모기의 침에 마취 성분이 있어서 바늘을 피부에 삽입할 때 통증을 못 느껴요. 또, 혈액 응고 방지제가 있어 혈액이 원활히 흐르도록 해요.
정은재(행현초 5)
모기는 멸종해도 되는 생물인가요?
생태학적으로 복잡한 문제예요. 모기는 인간에게 해롭지만 새, 박쥐 등의 먹이원이고, 유충은 물의 정화에 참여해요. 전 세계 약 3,500종의 모기 중에서 질병을 매개하는 종은 100종 정도로 알려져 있어요.
백수현(답십리초 4)
모기도 배변 활동을 하나요?
흡혈 후 2~3시간이 지나면 소화 과정을 거쳐 매우 작고 검은 점 형태의 배설물을 주로 벽이나 천장에 배설해요.
백예준(송천초 3)
산에서 모기에게 물리면 왜 더 간지럽나요?
한국숲모기, 흰줄숲모기 등의 숲모기는 더 강한 침을 가지고 공격적으로 흡혈해요. 독성이 강한 모기의 침은 강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요.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이 궁금해요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서울 시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식품, 의약품, 감염병, 대기, 수질, 생활 환경, 동물 위생 등에 대해 시험·연구한다.
감염병을 막기 위해 모기를 연구하는 역할도 하는데 매년 4월부터 11월까지 서울의 숲과 공원 등에서 모기를 채집해 개체수와 활동량을 확인한다. 또 감염병의 병원체를 분석하고, 모기 활동량을 예측해 서울시 모기예보제 발령에 협조한다. 모기가 좋아하는 강 근처나 공원에 갈 예정이라면 모기 예보를 확인하고 대비하자.
누리집: sihe.seoul.go.kr
1단계(쾌적)
야외와 실내에서 모기의 활동이 거의 없어요.
2단계(관심)
집 안으로 모기가 거의 들어오지 않아요. 방충망을 점검하고,모기 서식지를 없애요.
3단계(주의)
집 안에서 모기 2~4마리를 볼 수 있으니 고인 물을 비우고, 모기장을 사용해요.
4단계(불쾌)
모기 5~10마리 정도가 집 안에 있어요.
살충제, 모기향 등도 사용해요.
서울시 모기예보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