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close

  1. home

취미 부자들의 알록달록 가을 즐기기

서울 탐구생활 2025-11 314 공유하기

서울 곳곳이 아름다운 단풍으로 물드는 가을.
나의 취향을 알아보고, 내게 꼭 맞는 서울의 단풍 명소를 찾아가 보자.

나의 단풍휘챵은?

해치출발

도전! 서울의 가을을 채워라!

서울 곳곳에서 가을을 즐기는 방법을 알아보며 3개의 문제를 맞혀 보세요.

가을엔 과학자

문제 1

단풍은 녹색을 내는 색소인 OOO가 사라지면서 나타난다.

( ㅇ ㄹ ㅅ )

매헌시민의 숲

사진_ 서울의공원 김광옥

매헌시민의 숲

울창한 숲을 이루는 도심 속 공원이다. 단풍이 드는 침엽수인 낙우송과 메타세쿼이아의 생김새를 비교해 볼 수 있다.
위치 서초구 매헌로

서울숲

사진_ 서울관광재단

서울숲

은행나무는 중생대부터 현재까지 살아 남아, ‘살아 있는 화석’으로 불린다. 서울숲에서 600여 그루의 은행나무 군락지를 만나 보자.
위치 성동구 뚝섬로

안산 자락길

안산 자락길

무장애 숲길을 따라 붉은 단풍잎을 찾아보자. 붉은 잎을 만드는 색소는 일조량이 많을수록 짙어진다.
위치 서대문구 봉원사길

봉산 편백나무 치유의 숲

사진_ 내손안에서울 시민기자 조수봉

봉산 편백나무 치유의 숲

단풍이 들지 않는 상록 침엽수 편백나무를 비롯해 단풍이 드는 활엽수 참나무, 팥배나무 등을 만날 수 있다.
위치 은평구 은평터널로

월드컵공원

월드컵공원

‘뚜벅뚜벅 혼자서 떠나는 나무여행’ 미션에 참여해 단풍나무, 느티나무 등 20여종 나무의 특징을 배워 보자.
위치 마포구 월드컵로

가을엔 작가

문제 2

OOO는 ‘서시’, ‘별 헤는 밤’ 등의 시를 쓴 시인이다.

( ㅇ ㄷ ㅈ )

청운문학도서관

사진_ 내손안에서울 시민기자 박지영

청운문학도서관

한옥에서 단풍을 보며 책을 볼 수 있다. 근처에 시인 윤동주의 작품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윤동주 문학관도 있다.
위치 종로구 자하문로

오동숲속도서관

오동숲속도서관

오동근린공원 자락길을 형상화한 도서관으로 2024년 서울시 건축상을 수상했다. 단풍이 든 숲길을 산책하고, 독서도 즐겨 보자.
위치 성북구 화랑로

봉제산 책쉼터

봉제산 책쉼터

공원을 품은 생태 특화 도서관으로 생태 관련 책을 만날 수 있다. 숲 체험을 할 수 있는 생태숲 환경교실도 운영한다.
위치 강서구 초록마을로

아차산숲속도서관

아차산숲속도서관

책을 읽고, 아차산 숲을 체험하며 절기에 맞는 생태 놀이를 하는 프로그램에 신청 후 참여할 수 있다.
위치 광진구 영화사로

가을엔 여행자

문제 3

OOOO는 열매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지만 노란 단풍이 아름답다.

( ㅇ ㅎ ㄴ ㅁ )

북서울꿈의숲

북서울꿈의숲

전망대에 오르면 북한산, 남산 등 서울의 산을 조망할 수 있다. 단풍숲, 연못가 등을 거닐며 가을을 만끽하자.
위치 강북구 월계로

석촌호수

사진_ 서울관광재단

석촌호수

봄에 벚꽃 잎으로 가득했던 석촌호수가 가을이면 단풍으로 물든다. 호수, 고층빌딩과 어우러진 단풍을 만날 수 있다.
위치 송파구 잠실로

성균관 명륜당

성균관 명륜당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은행나무가 황금 빛으로 물든다. 조선 시대 고등 교육기관인 성균관과 단풍이 어우러진 모습이 아름답다.
위치 종로구 성균관로

덕수궁 돌담길과 정동길

사진_ 서울관광재단

덕수궁 돌담길과 정동길

근대식 건물이 가을의 운치를 더한다. 서울시청 서소문 청사 13층의 정동전 망대에서 덕수궁 일대를 감상할 수 있다.
위치 중구 덕수궁로 / 정동길



과학으로 보면 더 신비로운 단풍

경복궁

경복궁

나무는 겨울을 나기 위해 잎을 떨어뜨려야 한다. 수분이 많은 잎을 그대로 갖고 있으면 갑자기 기온이 떨어졌을 때 나무 전체가 얼어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온이 5도 이하로 내려가면 나무는 뿌리에서 잎으로 가는 물의 공급을 줄인다.
잎은 수분이 줄면 서서히 *광합성 활동을 멈추게 된다. 그러면 녹색을 띠는 색소인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녹색에 묻혀서 보이지 않았던 노란색이나 주황색 색소가 드러난다. 이렇게 단풍이 들게 된다. 색소의 종류에 따라 단풍의 색이 결정된다. 노란 단풍은 은행나무와 자작나무, 붉은 단풍은 단풍나무와 화살나무, 갈색 단풍은 느티나무와 참나무 등에서 볼 수 있다.

* 광합성이란? 식물이 빛에너지, 물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양분을 만드는 과정이다.

단풍이 드는 과정

단풍이 드는 과정

감수_ 박혜민(서울식물원 식물연구과)

1. 나무는 겨울나기를 위해 가지와 잎 사이에 ‘떨켜층’이라는 칸막이를 만들어 수분 공급을 막는다.
2. 잎으로 수분이 가지 않으면 엽록소가 줄어들며 노랑, 주황 색소가 선명해진다.
3. 잎이 완전히 마르면서 엽록소가 사라지고 마침내 떨어져서 겨울을 준비한다.

체험하면 더 즐거운 가을

안산 자락길

안산 자락길

서울 곳곳의 숲에 가면 흥미로운 자연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서울시 최초 시립 수목원인 푸른수목원에서는 숲 해설가와 함께 수목원 곳곳을 탐험하며 식물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걸어서 수목원 속으로’가 진행된다.
서울식물원에서 진행하는 ‘해설사와 함께하는 온실 로보타닉 투어’에 참여해 보자. 온실 곳곳에서 로봇과 전문 해설사가 다양한 식물을 보여 주고 생생한 식물 이야기를 들려준다. 퀴즈를 맞히고 게임도 하며 식물과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다. 단풍이 아름다운 보라매공원에서는 가족과 함께 더피고사리로 토피어리를 만드는 가드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모든 프로그램은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 누리집(yeyak.seoul.go.kr)에서 신청 후 참여할 수 있다

가을 지도

가을엔 과학자

01 매헌시민의 숲
02 서울숲
03 안산 지락길
04 봉산 편백나무 치유의 숲
05 월드컵공원

가을엔 작가

06 청운문학도서관
07 오동숲속도서관
08 봉제산 책쉼터
09 아차산숲속도서관

가을엔 여행자

10 북서울꿈의숲
11 석촌호수
12 성균관 명륜당
13 덕수궁 돌담길과 정동길

가을 프로그램

14 푸른수목원
15 서울식물원
16 보라매공원

서울 단풍길 알아보기 QR코드

서울 단풍길 알아보기

도전 2. 서울의 가을 빈칸 채우기


3개의 문제를 맞혀 보세요 . >> 바로 가기

서울의 가을 빈칸 채우기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QR코드를 인식해서 정답을 내친구서울 누리집(kids.seoul.go.kr)에 올려 주세요.
20명을 선정해 믹스드 오케스트라〈넥스트 레벨〉 공연에 초대합니다.(1인 2매)


TOP